청년희망적금 신청자격 및 만기금액 알아보기
청년희망적금과 만기금액: 중복가입은 불가하고, 금리 비교가 필수
청년희망적금 자격 및 만기금액: 머니투데이에 따르면, 청년희망적금과 만기금액은 두 개의 상품이 중복 가입이 불가하다는 것입니다. 적금 상품의 특성상 사업 목적이 유사하기 때문에, 이러한 제한이 도입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청년희망적금이 만기 된 이후에는 가입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청년희망적금은 여러 금융기관에서 제공되지만, 각 금융기관마다 금리가 다르기 때문에, 가입할 때는 반드시 금리 비교를 해야합니다. 그 중에 가장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곳을 추천합니다. 따라서 은행별로 금리를 비교하여 가입할 수 있도록 합니다.
아래는 청년희망적금의 대표적인 금융기관의 금리 비교표입니다.
금융기관 | 월 적립한도 | 만기금액 | 금리 |
---|---|---|---|
국민은행 | 50만원 | 1,277만원 | 1.5% |
기업은행 | 50만원 | 1,269만원 | 1.6% |
우리은행 | 50만원 | 1,270만원 | 1.65% |
신한은행 | 50만원 | 1,270만원 | 1.7% |
하나은행 | 50만원 | 1,278만원 | 1.6% |
위와 같이, 가입할 때는 각 금융기관의 금리 비교를 하여 가장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곳에서 가입하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금리 차이만큼 수익이 차이 날 수 있으므로, 신중한 금리 비교가 필요합니다.
청년희망적금과 만기금액
적금은 청년들이 대학, 새 차, 주택 계약금 등 미래를 위해 저축을 시작할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이제 2023년 청년희망적금으로 자녀의 미래를 위한 투자가 그 어느 때보다 쉬워졌습니다. 시중은행 11개에서 출시된 청년희망적금 상품으로, 이젠 저축장려금 추가지원과 이자소득 및 비과세가 지원됩니다.
청년희망적금의 경우, 기간은 5년으로 정해져 있으며 만기시점에서 세금을 제외한 최대 2배까지 보증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만기금액은 저축액, 이자율, 세금 등의 요소에 따라 다르게 결정됩니다. 만약, 매년 120만원을 저축한다면 5년간의 총 저축액은 600만원입니다.
이에 청년희망적금의 경우 별도의 조건을 만족하면 최대 1,200만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먼저, 저축액에 따른 만기금액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만약 이자율이 1.5%일 때, 저축액 120만원을 매년 5년간 저축한다면 만기금액은 대략 637만원입니다.
이에 비해, 만약 저축액을 매년 240만원으로 늘린다면 같은 이자율 1.5%에서 만기금액은 대략 1,275만원까지 증가합니다. 또한, 이자율에 따른 만기금액의 차이도 큽니다. 이자율이 1.5%일 때, 저축액 120만원을 매년 5년간 저축할 경우 만기금액은 대략 637만원입니다.
그러나 이자율이 2%로 올라간다면 만기금액은 대략 667만원까지 상승합니다. 이처럼, 이자율이 높을수록 만기금액이 상승하게 됩니다. 청년희망적금을 비롯한 적금 상품은 중간에 이체, 만기 전 연체, 예금 만기시 환급 의사를 밝히지 않으면 자동례약되는 등의 규정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청년들은 청년희망적금을 비롯한 적금상품을 이용하며 잘 관리하고 최대한 이자율과 조건의 혜택을 살리도록 해야 합니다. 아래 표에서는 각 시중은행에서 제공하는 청년희망적금 상품의 기본 정보와 이자율, 만기금액 및 최대 수신 금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은행 | 상품명 | 이자율 | 만기금액 | 최대 수신금액 |
---|---|---|---|---|
국민은행 | 청년희망적금 | 1.5% | 631.8만원 | 1,200만원 |
우리은행 | 청년우리적금 | 1.45% | 626.6만원 | 1,200만원 |
신한은행 | 신한 청년우대적금 | 1.65% | 641.3만원 | 1,200만원 |
하나은행 | 청년드림적금 | 1.7% | 643.6만원 | 1,200만원 |
KEB하나은행 | Happy 청년적금 | 1.5% | 631.8만원 | 1,200만원 |
기업은행 | 청년우리적금+ | 1.3% | 627.7만원 | 1,200만원 |
농협은행 | 청년우리들적금 | 1.55% | 635.3만원 | 1,200만원 |
수협은행 | 수협 청년희망적금 | 1.4% | 622.4만원 | 1,200만원 |
새마을금고 | 새마을 청년적금 | 1.5% | 631.8만원 | 1,200만원 |
전북은행 | 청년드림적금 | 1.5% | 631.8만원 | 1,200만원 |
제주은행 | 청년드림적금 | 1.5% | 631.8만원 | 1,200만원 |
청년희망적금: 매월 50만원 납입, 최대 36만원의 저축 장려금 수령 가능
청년희망적금은 청년들이 부동산 구매, 창업 등의 꿈을 이루기 위해 정부에서 지원하는 상품입니다.
매월 50만원 한도 내에서 2년간 자유롭게 납입이 가능하며, 매월 50만원을 납입할 경우 최대 36만원의 저축 장려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이는 보통 예금 금리보다 높은 수준입니다. 하지만 가입자 자격에는 일정한 제한이 있습니다.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연간 금융소득이 2000만원을 초과하는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가입이 제한됩니다. 이를 제외하고는 누구나 가입이 가능합니다. 청년희망적금의 장점은 만기금액입니다.
2년 동안 매월 최대 50만원을 납입하면, 2년 후 만기금액은 약 2,400만원입니다. 이는 매월 같은 금액을 예금에 저축한 경우와 비교해서도 훨씬 높은 금액입니다. 아래는 청년희망적금의 만기금액과 청년도약계좌와의 비교표입니다.
납입금액 | 적금기간 | 만기금액 |
---|---|---|
50만원 | 24개월 | 약 2,400만원 |
50만원 | 24개월 | 약 1,800만원 |
위의 표는 매월 50만원을 2년간 납입한 경우의 청년희망적금과 동일한 기간에 매월 50만원을 일반 예금에 저축한 경우의 예상 금액과 비교한 것입니다. 청년희망적금은 만기금액이 더 높아 청년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무빙이 꿀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기부등본 열람 방법 및 내용알아보기 (0) | 2023.05.06 |
---|---|
2023년 삼재띠 알아보기(들삼재,눌삼재,날삼재) (0) | 2023.05.06 |
퇴직금 계산기 및 계산방법 (0) | 2023.05.05 |
국민 내일배움카드 신청자격 신청방법 (0) | 2023.05.05 |
2023 문화누리카드 잔액조회 및 온라인사용처 (0) | 2023.05.04 |
댓글